생활스포츠지도사란 학교, 직장, 지역사회 또는 체육단체 등에서 체육을 지도할 수 있도록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라 해당 자격을 취득한 사람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생활체육을 지도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지는 것을 뜻합니다.
2023년 기준 총 65가지 종목이 있으며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키,검도, 게이트볼, 골프, 국학기공, 궁도, 농구, 당구, 댄스스포츠, 등산, 라켓볼, 럭비, 레슬링, 레크리에이션, 리듬체조, 배구, 배드민턴, 보디빌딩, 복싱, 볼링, 빙상, 사격, 세팍타크로, 소프트볼, 수상스키, 수영, 스쿼시, 스킨스쿠버, 승마, 씨름, 아이스하키, 야구, 양궁, 에어로빅, 오리엔티어링, 요트, 우슈, 윈드서핑, 유도, 육상, 인라인스케이트, 자전거, 정구, 조정, 족구, 주짓수, 줄넘기, 철인3종경기, 축구, 치어리딩, 카누, 탁구, 태권도, 택견, 테니스, 파크골프, 패러글라이딩, 펜싱, 풋살, 플로어볼, 하키, 합기도, 핸드볼, 행글라이딩, 힙합 등
위 종목들의 공식적인 지도자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며 생활스포츠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졸업이 가능한 체육대학도 많습니다.
자격요건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응시 가능하며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실행하는 자격증을 보유한 경우 약간의 유리함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종목 생활스포츠지도사 자격증이 있을 경우 : 필기와 연수가 면제되며 실기, 구술시험과 폭력 예방교육만 받으면 취득이 가능합니다.
같은 종목의 유소년 스포츠지도사 또는 노인 스포츠지도사 자격을 보유한 경우 : 필기와 실기 시험이 면제되며 구술시험과 40시간의 연수 교육 시 취득이 가능합니다.
다른 종목의 유소년 스포츠지도사 또는 노인 스포츠지도사 자격을 보유한 경우 : 필기만 면제되며 실기, 구술시험과 40간의 연수 교육 시 취득이 가능합니다.
다른 종목의 장애인스포츠지도사 자격을 보유한 경우 : 필기만 면제되며 실기, 구술시험과 40간의 연수 교육 시 취득이 가능합니다.
필기
스포츠심리학, 운동생리학, 스포츠사회학, 운동역학, 스포츠교육학, 스포츠윤리, 한국체육사 등 총 7과목 중 5과목을 선택하여 푸는 방식입니다.
저는 스포츠심리학, 스포츠사회학, 운동역학, 스포츠교육학, 스포츠윤리를 선택했습니다.
각 과목마다 20문제가 있으며 5과목 총합 300점을 넘기면 합격하는 절대평가 방식이고 한 과목이라도 40점 미만 시 탈락입니다.
개인적으로 생활스포츠지도사 자격증 준비하는 과정 중 제일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준비하는데 한 달 정도 걸렸습니다. 시험이 문제은행 방식이라 인강 같은 것은 따로 보지 않았고 기출문제만 풀었습니다.
'하루 1시간씩 일주일에 한 과목을 끝내겠다'를 목표로 했습니다.
문제집은 '성피티의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필기 합격 공식'을 이용했습니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시험 방식은 시험이 시작되면 7과목이 한 번에 들어있는 시험지를 주는데 여기서 5과목 만 골라 풀고 OMR 카드에 과목 코드를 마킹하여 기입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시험시간은 총 100분입니다. 1분에 한 문제 씩 풀면 되는데 난이도가 어렵지 않아 시간이 널널했던 것 같습니다.
준비하면서 범위가 비교적 넓어 힘들었지만 시험 문제 자체는 단순하고 어렵지 않았습니다.
실기/구술(보디빌딩)
실기, 구술 각각 70점을 넘겨야 합격입니다.
실기/구술 준비하는데도 한 달 정도 걸렸던 것 같습니다. 실기는 교재를 구매하여 웨이트 자세와 명칭, 보디빌딩 포즈와 명칭을 정확하게 외우는 것을 목표로 공부했습니다. 실기 준비는 굉장히 간단했는데 문제는 구술시험입니다.
구술시험은 딱히 이렇다 할 교재나 기출문제가 나와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카페 활동과 대한 보디빌딩협회 홈페이지를 확인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데
저는 '오름'이라는 카페에 가입했었습니다. 이곳에 현재 수험생들의 공부 과정과 합격자들의 구술 기출문제와 정답들이 빼곡히 쌓여 있었습니다.
저는 카페에 올라온 기출문제와 답변들을 한글 파일에 나열하여 공부했습니다.
그리고 대한보디빌딩협회에서 시험을 주관하기 때문에 웨이트 명칭은 바뀐 것이 없는지, 새로운 자세가 추가되지는 않았는지, 기준은 바뀐 것이 없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교재는 '단박에 오름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실기 구술'을 이용했습니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시험 볼 때 민소매와 너무 짧지 않은 반바지를 입고 오라고 합니다.
시험 방식은 본인 이름과 번호가 호명되면 혼자 방 안으로 들어가 실기, 구술을 한 번에 보는 방식이였습니다.
들어가면 심사위원 3명이 앉아 있고 들어가자마자 번호와 이름을 부르라고 합니다.
모든 시험은 서서 봤으며 구술을 제일 먼저 봅니다.
총 3개에서 4개의 질문을 하는데 저는 3개 했습니다. 그냥 필기시험을 말로 푸는 기분이었습니다.
예) 도핑 11단계는 무엇인가요, 흉부압박법을 설명해 주세요
구술이 끝나면 바로 실기가 시작되는데 심사위원이 말한 웨이트의 자세를 취하는 방식입니다.
실기도 총 3~4개이며, 중량 상관없이 자유롭게 자세를 취하면 되는데 그래도 적당한 중량이 있어야 자세가 나오기 때문에 너무 가벼운 중량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 힙쓰러스트, 덤벨풀오버
웨이트 자세가 끝나면 포징 시험이 시작됩니다.
총 2개 보며 성별에 맞는 규정포즈를 말씀해 주시면 자세를 취하면 됩니다.
카페에서 실기, 포징 시 "덤벨 풀오버 실행하겠습니다!"처럼 자세 명칭 말하고 하라고 하는데 저는 안 했습니다.
처음 방에 들어간 순간부터 나올 때까지 2분도 안 걸려 좀 허무했습니다.
Tip : 이 시험이 같은 날 전국에 동시적으로 실시하고 대기 시간도 길기 때문에 먼저 시험을 보고 카페에 바로 글을 올려주시는 분 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시험이 뒤 순서이거나 좀 시간이 남는다 싶으면 수시로 카페를 확인하면 차이는 있겠지만 당일 기출문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연수, 현장실습, 보고서
연수는 총 90시간 과정이며 현장실습과 보고서 작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연수
저는 코로나 시기 때 연수를 들어서 매주 주말마다 줌으로 수업을 들었습니다. 총 66시간 과정이며 59시간 이상 들어야 합니다.
실습
연수가 끝나면 현장실습이 시작되는데 실습은 하루 8시간씩 3일 연속으로 있습니다.
오전에는 이론 수업을 하고 식사시간 이후 짧은 이론 수업 이후 실습을 했는데 실습이랄 것도 없이 그냥 그 건물 헬스장에서 자율 운동하고 시간 되면 가는 방식이었습니다.
보고서
현장 실습을 하면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데 장황하게 적을 필요 없고 간단하게 어떤 주제에 대해 배웠는지만 적으면 됩니다.
예) 20xx년 xx월 xx일 : 응급처치법과 안전 관리의 중요성을 배웠다.
내용은 딱히 신경 안 쓰고 분량만 채우면 되는 것 같습니다.
'생활스포츠지도사' 굉장히 취득하기 쉽고 공신력이 딱히 크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만큼 체육 전공자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고 없으면 섭섭한(?) 그런 자격증인 것 같습니다.
각 잡고 준비하지 않고 일주일에 한 번씩만 투자해도 금방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 같습니다. 응시자격도 요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체육 전공자 또는 체육에 관심 있는 누구라도 한 번쯤은 도전해 볼 만한 것 같습니다.